전체 글7 “땅장사 그만”이라는 대통령의 경고, LH는 이제 본질로 돌아갈 때다 📰 기사 요약출처: 매일경제 (2025.07.15)제목: “땅장사 그만”…김윤덕 “LH, 구조 바꾸는 대개혁”기사 링크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7월 15일 첫 출근길 인터뷰에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구조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수동이 아닌 능동적이고 공격적인 개혁”을 주문받았다며, 단순한 운영 개선이 아닌 “판을 바꾸는 대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발언은 LH가 조성한 공공택지를 민간에 매각하면서 이중 마진 구조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주택 가격 상승이 구조화된다는 대통령의 문제의식에 기반한다. 김 후보자는 대규모 신도시 조성보다는 유휴부지 활용, 공공이익 확보를 전제로 한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공공주택 공급 방식 전환 등을 LH 개혁 방향으로 제.. 2025. 7. 29. 집값은 왜 계속 오를까요? –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 요즘 이런 생각 안 해보셨나요?"대출도 막혔다고 하는데, 왜 집값은 자꾸 오르지?"현실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자꾸 놓치고 있는 게 있습니다. 📌 요즘 이상한 일, 많지 않나요?뉴스에서는 금리도 오르고, 대출도 조인다는데…현장에선 집값이 또 슬금슬금 오르고 있습니다.정부는 공급이 부족해서 그렇다고 하고,언론도 재건축·재개발이 지연돼서 문제라고 말하죠.근데 말입니다. 진짜 그게 다일까요?💸 실은 ‘살고 싶은 사람’보다 ‘사고 싶은 돈’이 더 많습니다.지금 시장엔 살 집을 찾는 사람이 부족한 게 아니라,투자할 곳을 찾는 돈이 넘쳐납니다.금리가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자산가들에게는 부동산이 제일 안전한 투자처죠.대출이 안 되면 뭐 어때요. 가진 사람은 ‘현금’으로 삽니다.문제는, 이런 돈들이 몰리면 .. 2025. 7. 29. 집이란 많은 사람들이 집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청년들은 집값 때문에 결혼을 포기하고,“영혼까지 끌어모아 건물주가 되겠다”는 절박함에 사로잡히기도 합니다.저에게는 조금 다른 기억이 있습니다.어릴 적 단칸방에서 살았지만, 그것이 내게 큰 고통은 아니었습니다.물리적으로 불편할지언정, 그 시절 나는 그것을 큰 결핍으로 여기지 않았습니다.그러나 분명히 느꼈던 게 있었습니다.집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타인의 시선과 나의 위치를 자각하게 하는 곳이라는 점이었습니다.건축을 공부하면서 언젠가부터‘인간을 위한 건축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이 마음속에 자리 잡았습니다.내가 가진 기술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던 끝에건축을 통한 봉사라는 길을 선택했고, 그 길에서 몽골에 가게 되었습니다.몽골에서의 겨울은 내게 강한 충격이었습니.. 2025. 7. 11. 이전 1 2 다음